인상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두아르 마네
에두아르 마네는 1832년 프랑스 파리의 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프랑스 법관이었으며 어머니는 외교관 아버지를 두었으며 스웨덴 왕세자인 샤를 베르나도트의 대녀였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이 그의 뒤를 이어 법조계에서 일하기를 바랐지만 그는 법대를 갈 만큼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아니었습니다. 해군사관학교에 지원했으나 떨어지고 그 이후에도 몇 차례 실패를 거듭하자 아버지는 결국 아들이 미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허락하였습니다. 이후에 토마스 쿠튀르 문하에서 미술 공부를 하게 되었고 남는 시간에 루브르 박물관의 작품들을 모사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의 갤러리들을 방문하였는데 이때 네덜란드의 프란스 할스와 스페인의 벨라스케스 그리고 고야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1863년 살롱전 심사에서 떨어진 작품 [풀밭 위의 점심식사]를 낙선전에서 전시를 했는데 이 작품은 당시 커다란 화제를 낳으며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아카데미로부터 선택을 받지 못해 왔던 모네, 르느아르, 시슬레 등 젊은 화가들은 오히려 기존 화풍에서 벗어난 모네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마네의 집 근처 카페에 모여 마네와 자주 그림 이야기를 나누곤 했으며 이 모임은 나중에 인상주의 회화를 낳게 되는 시작점이 됩니다. 하지만 마네는 이 모임에 친교 이상의 의미는 두지 않았으며 인상파 그룹의 전시회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마지막까지 아카데미에서 인정받기를 원했습니다.
1883년 매독으로 사망하기 직전에 마네의 최후의 걸작으로 남게 되는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을 그렸고 이 작품은 1882년 살롱전에 전시가 됩니다.
마네의 대표작으로는 [풀밭 위의 점심식사], [올랭피아], [발코니], [피리 부는 소년], [제비꽃 장식을 한 베르트 모리조],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등이 있습니다.
조롱의 대상이었던 [풀밭 위의 점심식사]
1963년 마네가 당시 프랑스 정부가 주도하는 살롱 전시회에 출품했지만 당시 살롱전의 심사위원들은 정통 아카데미 미술만을 인정하고 새로운 시도는 인정하지 않는 성격이 강해 이 작품은 결국 낙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살롱전에서 떨어진 작품들을 모아 전시한 '낙선전'에 전시되었으나 당시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주제와 표현 기법으로 관람객들과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게 됩니다.
작품의 중앙에는 숲을 배경으로 세 사람이 앉아 있습니다. 옷을 차려입은 두 남성과 함께 한 여성이 나체로 앉아 있는데 이 여성은 캔버스 밖의 세상을 똑바로 응시하고 있습니다. 남성들은 당시 유럽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사복을 입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면은 당시의 시대상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었고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보는 것을 불편해했습니다.
(이 나체의 여성은 빅토르 뫼랑이라는 실존 인물로 당시 18세였으며 마네와 처음 만난 1862년 이후 13년간 마네의 수많은 작품 속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녀는 마네의 지인이 그리는 작품 속 모델이 되어 주기도 하였으며 본인이 직접 화가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이 그림이 또 비판받았던 부분이 배경이 다소 거칠게 그려졌다는 점입니다. 마네는 이 작품에서 붓질을 감추려 하지 않았고 일부 영역은 미완성인 채로 남겨 두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그림의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또한 마네는 기존의 정통 미술과 달리 작품에서 원근법을 없애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그렇다 보니 그림이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없이 평면적으로 보였고 뒤쪽 물에 있는 여성 또한 전경의 사람들에 비해 비율이 크고 붕 떠있는 듯 부자연스럽게 보이기도 합니다.
인상주의를 낳은 마네의 작품들
이처럼 그의 작품은 아카데미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다른 화가들은 그의 작품을 높게 평가하고 모방하여 그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어 1865년에 매춘부를 주인공으로 한 [올랭피아]를 다시 살롱전에 출품하면서 더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실제 매춘부를 모델로 그린 것은 아니었으며 '풀밭 위의 점심식사'에서도 모델이 되었던 화가 지망생 빅토린 뫼랑을 모델로 그렸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논쟁 덕분에 마네는 오히려 더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기존 아카데미 미술과 분명하게 다른 그의 새로운 화풍에 젊은 화가들이 열광하였고 그를 따르는 화가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이들이 후에 인상주의를 확립하게 됩니다.
댓글